::KORSHIP::

Special Report 해양관광레저 산업 국내외 사례조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최고관리자 댓글 0건 조회 5,506회 작성일 19-06-07 11:07

본문

529ce53d06cd03d854db958476b79b21_1559873179_4502.png
1. 해양관광레저 산업의 개념

(1) 개념과 범위
① 해역과 연안 등 해양에서 이뤄지는 모든 관광레저 활동
관련 산업
해양관광레저란 인간이 해양에서 취미, 오락, 교육 등 관광과 레저를 목적으로 이루어지는 모든 활동과 관련된 제조, 시설, 서비스 등의 관련 산업이다. 또한 해양에서의 관광활동 및 레저·스포츠, 국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 함양을 위해 해양과 연안에서 이루어지는 관광활동과 이를 수반하는 제반 산업을 의미한다. 해양관광레저는 2개 이상의 개념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산업으로 해양레포츠, 해양관광, 해양문화, 해양 정주공간 등 다양한 요소들이 유기적으로 얽혀 이뤄지는 것을 뜻한다.

② 레크리에이션의 성격이 강한 해양관광레저
물을 주로 이용하는 해양관광은 다양화, 특성화, 복합화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해양생태계, 해양경관, 친수성 등에 대한 의존도 및 비중이 매우 높다.
따라서 해양관광레저는 고려 요소가 다양하고 복합적이기 때문에 해양공간으로서의 특성과 매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일반관광지와 비교하여 초기 해양관광레저 클러스터 조성 시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

(1) 유형과 종류
해양관광레저는 물을 적극적으로 활용한 레저체험활동인 수중형과 수변을 활용한 휴식•레저활동을 중심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다. 수중형 해양관광레저는 활동성이 강한 윈드서핑, 모터보트, 세일링 요트 등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한 종류에 따른 유형이 존재하며, 수변활용형은 해변, 해안가에 조성되는 해양관광 기반시설에 따라 이루어지는 해양관광행태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
529ce53d06cd03d854db958476b79b21_1559873202_7915.png
2. 해양관광레저산업 동향

(1) 국외 동향 및 전망
① 해양관광레저 세계 시장규모 2020년 2,324억 달러로 확대 전망
1994년 UN 해양법 협약 이후, 해양 선진국들은 해양의 가치와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국가적인 차원에서 해양 전략을 수립했으며, 그 중 레저공간으로서 해양 활용을 적극적으로 추진했다. 세계해양산업협의회(ICOMIA)의 통계에 따르면 해양레저산업의 세계시장 규모는 2006년 470억 달러에서 2010년 751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향후 2020년까지 2,324억 달러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관광기구(UNWTO)는 해양 레저분야를 성장 잠재력이 높은 분야로 선정했으며, 향후 전세계 관광시장의 50%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했다.

② 해양 문화 및 인프라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성장 추세
해양레저를 대표하는 모터보트 및 세일링 요트 등의 해양레저장비와 관련한 시장 규모 검토를 통해 모터보트의 경우 2005년 170억 달러 규모에서 2015년 280억 달러로 성장했으며, 세일링 요트의 경우도 2005년 80억 달러 규모에서 2015년 130억 달러 규모로 큰 폭으로 확대되었다. 세계 판매선박 수는 2006년 2,300만 척에서 2010년에는 2,710만 척으로 증가했으며, 2020년 에는 판매선박 수가 3,847만 척으로 예상되고 있다.

(2) 국내 동향 및 전망
① 해양관광레저 관련 수요의 지속적인 증가 추세
국민소득의 향상과 여가시간의 증대, 육상관광지의 포화상태 등으로 국민들의 관광에 대한 관심이 육상에서 해상으로 전환되었으며, 이러한 해양형 레저로의 여가 트렌드 변화는 해양레저 시장의 규모를 성장시켜 2010년 이후 해양레저시장 규모는 성장추세를 보였다. 국내 해양레저장비 보유 규모는 2005년 4,178척에서 2010년 8,232척으로 2배 증가했고, 2019년에는 25,700척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어 약 7,000억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전망된다.

② 해양관광레저 신규 수요 확보를 위한 정부차원의 정책 수립
해양관광레저 신규 수요 확보를 위해 국가 차원의 정책적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를 위한 정책을 관련 부처차원에서 추진 중에 있다.
마리나항만 6개소를 2017년까지 우선 개발하며 마리나항만 내 주거시설을 허용하고, 마리나 시설에 대한 분양 및 회원제 근거를 마련하여 민자 유치 활성화 및 리조트 등 다양한 마리나 개발을 도모하고 있다. 또한 2017년까지 해양레포츠 센터 7개소를 건립하고, 주요 해양관광지 10개소에 소규모 계류 시설을 설치하여 요트 및 보트에 대한 접근성을 제고 할 계획을 수립중이다. 시장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안을 권역별로 나눠 특화된 발전전략을 수립하고 해양레저관련 저변 확대를 위해 해양레저 시범학교 지정 등을 시행할 예정이다.

529ce53d06cd03d854db958476b79b21_1559873246_6597.png
3. 해양관광레저 주요 종목별 발전 전망

(1) 마리나 산업
① 세계 시장
전세계 마리나는 2만 3천개, 레저선박은 2,840만 척이며, 레저선박시장 규모는 445억 달러로 추정된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시장 침체 속에서도 슈퍼요트는 지난 5년간 3배 가까이 증가하여 6,000척을 상회했다. 레저선박 시장의 85% 이상을 북미와 유럽이 점유하고 있으며, 호주와 뉴질랜드 지역이 최근 요트관련 인지도 및 수요 증가로 인해 신흥 강국으로 부상하고 있다. 아시아 국가들 중 중국이 청도 1,466척, 하문 1,450척, 산야 600척 등 대형 마리나항만을 개발하고 있으며 대만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슈퍼요트 생산 세계 6위권을 유지하고 있다.

② 국내 시장
국내 요트, 보트 등 레저선박관련 시장규모는 최근 5년간 레저선박은 3배이상, 조종면허 취득자는 2배가 증가하는 등 마리나 시장이 빠르게 성장 중인 것으로 보인다. 이에 반해 국내 마리나 수는 2013년을 기준으로 46개소를 지정하고 30개소에서 운영 중이며, 8개소가 개발중에 있는데 이는 일본 570개소의 약 1/10 수준으로 수요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수준이다. 또한 레저선박 제조업체는 10여 개소에 불과하여 해양관광레저 산업기반이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2) 크루즈 산업
① 세계 시장
최근 10년간 세계 크루즈시장은 연평균 10.3%씩 성장하여 ‘12년 크루즈 관광객수는 2,014만 명, 직접 소비액은 362억 달러로 추산되었다. 향후 크루즈 관광객은 연 4% 성장을 지속하여 2020년에는 2,667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2012년 말 기준, 세계 크루즈선박은 총 377척으로 주요 4개 선사가 선박수의 45.1%, 수용능력의 86%를 점유하여 과점체제를 형성했다. 동북아 크루즈 관광객은 2012년 80만 명에서 2015년 100만 명으로 증가할 것으로 전망되며, 권역별로는 미주 유럽 비중이 2000년 94%에서 2012년 82%로 감소한 반면, 아시아, 오세아니아 등 기타 지역의 빠른 성장세가 확인되었다.

② 국내 시장
크루즈관광 관련 세계 시장의 빠른 성장 흐름에 발맞춰 한국 방문 크루즈 관광객은 2005년 3만 명에서 2013년 80만 명으로 최근 8년간 20배 이상 증가했으나, 체류 기간은 1일 미만이 대부분으로 관광체류 활성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다. 2013년 국내 기항 414회 중 1박 2일 이상 체류는 60회로 전체의 14% 수준이며, 제주가 185회 운항을 통해 39만 명이 유입되는 등 국내 크루즈 관광시장의 거점 지역임을 확인했다.

(2) 해양생태관광
① 세계 시장
생태관광(Ecotourism)이란 환경피해를 최소화하면서 우수한 자연자원을 체험•관찰•이해하는 여행의 한 방식을 뜻한다. 최근 자연보호, 생태에 관한 관심이 급증하면서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중반까지 전체 관광시장 성장률보다 3배 이상 빠른 성장속도를 보였으며, 2007년 세계관광기구에 따르면 전체 관광시장의 7%를 점유하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② 국내 시장
주 5일 근무제 확산과 체험•학습관광 시장의 형성으로 갯벌탐사, 탐조관광 등이 지속적으로 성장했다.
2008년 창원, 람사르협약 총회 개최를 계기로 생태관광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순천만의 경우 연간 300만 명이 방문했다. 국내 해양보호구역 방문자수는 2009년도 5개소, 246만 명에서 2012년 7개소, 272만 명으로 신두리 해안사구, 중도 습지보호구역 등을 중심으로 해양생태관광객 증가했다.

(4) 낚시레저산업
① 세계 시장
미국은 낚시레저분야 세계 1위 국가로, 레저낚시인구가 3,700만 명에 달하며 낚시 용품시장은 17조원으로 관련 총 지출액이 37조원으로 추산되었다. 아시아 최대 시장인 일본의 경우, 레저 낚시인구는 1,400만 명, 낚시용품시장은 2조원대로 추정된다.

② 국내 시장
연 1회 이상, 활동하는 레저낚시인구는 2005년 573만 명에서 2010년 652만 명으로 13.8%가 증가했다. 낚시용품시장은 3,269억 원, 서비스 분야 1조 3,386억 원 등 국내 낚시산업 시장 규모는 1조 7,141억 원으로 추산되었다. 정부는 2013년 『낚시진흥기본계획』을 수립해 낚시터 환경개선, 낚시용품시장 확대, 낚시업자 전문교육 등에 2018년까지 308억 원을 투자할 계획을 밝혔다.

(5) 해중레저산업
① 세계 시장
1960년대 이후 지속 성장하고 있는 세계 해중레저인구는 600만 명으로 추산되고 있으며, 연간 시장규모는 40~60억 달러로 추정된다. 세계수중연맹, 전문다이빙강사협회 등 30여개 협회가 있고 각 협회를 중심으로 교육•장비•시설 인증을 실시하고 있다.

② 국내 시장
국내 해중레저 동호인은 약 30만 명으로 다이빙숍은 190여개로 추산된다. 2010년 해경 집계에 따르면 연간 12만 명이 해중레저를 체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국수중협회, 한국잠수협회 등 국내 10여개 단체에서 자율적으로 교육 및 자격증을 발급 등을 시행했다. 현재 해중레저와 관련한 법령 규정은 없는 실정으로 해중레저 안전사고 방지 및 이동수단 합법화를 위해 입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4. 해양관광레저 도입여건 및 트렌드 분석

(1) 정책여건 검토
① 내적 여건 검토
지정학적으로 동북아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중국을 비롯한 동아시아 관광객 유치에 유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 또한 국토의 3면이 바다와 접해, 긴 해안선 및 연안별로 독특한 해양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다양한 관광수요 충족이 가능하다. 국내 해양관광레저 활동은 관광자원간의 연계 프로그램 및 해양레저•관광 전문인력 부족으로 활성화에 한계를 지니고 있다. 해수욕장 등 기존 관광시설의 낙후, 숙박 등 체류시설 부족, 수요 다변화를 위한 관광 상품과 고부가가치 콘텐츠가 미흡한 문제점을 보유하고 있다.

② 외적 여건 검토
주 5일제 근무 정착 및 국민소득 향상, 여가시간 증대 등으로 해양관광레저에 대한 관심 및 참여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한류 확산 및 동북아 관광시장 성장으로 해외 관광객 유입이 증대하고 있다. 또한 창조경제의 중요한 동력으로서 정책적 관심 및 지원 확대 될 전망이다. 그러나 불안정한 국제경제 상황이 발생하는 가운데 이에 따른 관광수요 변동 및 국내 물가상승으로 인한 관광활동 위축이 우려된다. 이러한 해양관광레저 산업의 위해요소로 다가오는 문제점들을 보완하기 위해서는 정부차원의 정책 마련을 우선적으로 마련해야 하며, 중장기 대책을 포함하고 있는 해양수산부의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과 같이 단기적인 위험요소에 대응할 수 있는 계획안이 필요하다.

③ 국내 정책 동향
2004년, 해양수산부가 수립한 제1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에서 제시한 해양관광 분야에 덧붙여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 중장기 대책을 포함하는 제2차 해양관광진흥 기본계획을 2014년도에 발표했다. 새로운 해양레저•관광 분야 육성을 위한 R&D 지원 및 선도사업의 선정과 추진 등을 통해 해양레저•관광산업 육성을 통한 창조경제발전을 도모하고, 2023년까지 해양레저•관광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했다. 또한 전국 연안과 인접해역을 7개 권역으로 구분하여 지역별 여건에 따라 특화권역을 개발했다.

(2) 해양관광레저 트렌드
① 건강과 치유에 대한 관심 증대 및 글로벌화 추세에 맞춘 관광 상품 필요
고령화 사회 도래 및 휴식, 힐링, 건강 등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는 가운데 해양헬스케어 및 힐링 프로그램 개발이 강조되는 추세이다. 또한 교통수단 및 정보통신 발달에 따른 공간적 거리의 축소는 국제적인 사회문화적 교류 및 융합문화 출현을 촉진하여 해외관광객을 유치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했다. 새만금은 중국, 일본과 지리적으로 근거리권에 위치하고 있어 이들을 유치할 수 있는 여건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으므로 이들의 취향에 맞는 음식•숙박 등 관광서비스 제공 및 해양문화와 자원을 연계하는 체류형 상품 개발이 필요하다.

② 미래 관광 트렌드를 선도하는 해양관광레저 콘텐츠
내륙 중심의 관광활동공간이 해양으로 이동하면서 해양레저에 대한 관심과 수요는 증가하고 있고 우리나라의 경우 해양레포츠 체험인원이 2012년 60만 명에서 2014년 73만 명으로 21.6% 증가했다. 해양레저스포츠 활성화를 통한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강화 등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 시점으로 새만금에 이러한 해양레저 수요를 충족할 수 있는 여건 조성이 필요하다.

③ 생태적 가치의 중요성과 감성·체험관광을 중시하는 수요 확산
기후 변화에 대한 관심 증대 및 정부의 녹색성장과 연계하여 지속가능한 관광행태가 강조되고 있으며 환경 친화적으로 관광자원 개발사업을 추진하고, 생태체험 수요 확대에 대응하는 정책수단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또한 개성과 감성을 중시하는 사회 현상 및 SNS 확산에 따른 정보공유 강화로 관광콘텐츠 생산에 대한 트렌드가 변화하고 있으며 해양관광 또한 이러한 흐름에 발맞춰 맞춤형 관광콘텐츠 및 고부가가치 상품 개발 등 개인의 선택 진행해야 한다.

Category

Category

최신호보기(Latest issue)

최신호보기(Latest issue)

관련협회/단체(Association/Agency)

관련협회/단체(Association/Agency)